'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710건

  1. 어쩐지... 2011.04.15
  2. 보고 5 2011.04.13
  3. 추천 무료 전자책 한 권. 2011.04.09

어쩐지...

from 일상/일기 2011. 4. 15. 02:29

옆에 구글 검색을 달아놓고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 - 검색이 다 되지 않는 것 같다 - 만 했었는데 심증만 있고 물증이 없었더랬지요.

드디어 물증을 잡았네요.



분명히 휴 그랜트가 포함된 포스트가 있는데


검색결과는 이 지경이네요.... (실제로 휴 그랜트가 포함된 포스트는 이 글을 포함 3개입니다.)

기본 검색으로 복원했습니다. ㄱ-;;;





'일상 >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만하다.  (0) 2011.04.27
보고2  (0) 2011.04.19
보고  (5) 2011.04.13
  (3) 2011.04.01
전자책 구입  (0) 2011.03.30
,

보고

from 일상/일기 2011. 4. 13. 06:34

의욕적인 포스팅(2011/04/01 - [일상/일기] - 봄)을 남긴지 대략 2주가 되었다

그간 일어난 변화 점검 :

 침대에서 꼼지락꼼지락 윗몸일으키기 20개씩 하던 것을 어제부터 30개로 늘렸다. 태권도 하던 시절에 근력 운동은 알이 배기도록 해야 근육이 는다고 배웠기 때문에 마음 속 어딘가에선 겨우 20개 해서 뭣하냐는 불안감이 있었다. 그런데 웬걸. 3월 30일부터 해서 열흘정도 하니 근력뿐 아니라 체력도 생겨서 현재는 30개로 늘렸다. (늘린지 3일째)

 복근 운동을 꾸준히 하다보니 무력하던 장에 자극이 되었는지 소화가 한결 잘 되고 소화가 잘 되니 식욕도 상당히 좋다. 심할 때는 하루 한 끼 먹던 때도 있었는데 현재는 2.5끼 먹는 중이다. 아침, 저녁, 야식(0.5) ....자정을 넘기고 뭔가 먹지 않으면 잠을 잘 수가 없게 되다보니 현재 상태. 목표는 야식을 없애는 것이지만..! 애초에 생활리듬부터가 정상화가 안 되니 낭패. 운동량을 조금 더 늘리면 될 것 같기도 한데 아직은 모르겠다. 어차피 살을 뺄려는 목적이 아니라서 현재 시점에는 먹을 수 있으면 최대한 많이 먹는 쪽으로.

 애인님은 나의 운동을 보고 자극을 받았는지 (2주 전에) 팔굽혀펴기를 시작해서 하고 있다. 제대로 하라고 구박질을 하였더니 그럼 네가 해봐라!... 하는 바람에 나도 해봤다. 처음엔 한개도 못하지 싶었는데 의외로 되더라. 한 개도 못하고 팍삭 주저앉을 줄 알았는데 의외로, 내려가니까 (있지도 않은) 가슴 근육이 헉 하고 깜짝 놀라긴 하더만 어쨌건 빌빌빌 하면서 올라오는데 성공. 그 뒤로 2개 정도 더 하고 멈췄다. 전성기(?)에도 열개를 못 했는데 지금 3개라면 훌륭하다. 역시 운동은 영양상태 개선이 우선이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집에서 할만한 근력 운동이 종류가 꽤 많다. 뭐 몇개 하고 얼마 쉬고 이런 정보들이 많은데 아직은 쉬엄쉬엄 할만한 단위에 이르지 못했으니 그건 다음에 생각. 지금은 혼자 꼬물꼬물 실컷 해도 시계 보면 10분도 안 지나있다 -_-...




  와우를 그만두니 애인님이랑 같이 놀만한 거리가 부족하다. 둘 다 취미가 독서같은 혼자놀기류라 현재는 혼자 있는 것보다 같이 있으면 더 심심하다.

 같이 외국어공부라도 하면 좋겠지만 애인님이 영어를 너무 잘 하니 일단 영어는 같이할만한 수준이 안되고 다른 서양말도 학습속도 자체가 넘 차이난다. ㅜㅜ 게다가 일어도 엔간히 해버리니 수준 맞춰서 할만한 외국어가 없다.

 같이 운동 배우는 것도 좋을 것 같긴한데 헬스는 한번 다녀봤는데 지겨워서 한달도 못하고 때려친 기억이 있는지라 차마 시도를 못하겠고 그밖의 다른 운동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으니 같이 할 때야 재미있겠지만 심심한 시간엔 여전히 심심할 것 같다.

검색엔진이 뭔가 아이디어를 주려나.

검색엔진의 추천 :

산책, 등산, 여행, 댄스(!)
영화 감상, 음악 감상, 스포츠 관람
게임
사진

게임은 그간 실컷 했고 다른 건 딱히 땡기는 게 없네.


'일상 >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고2  (0) 2011.04.19
어쩐지...  (0) 2011.04.15
  (3) 2011.04.01
전자책 구입  (0) 2011.03.30
내려놓기.  (0) 2011.03.28
,


[무료전자책]장미와찔레 - 10점
조동성.김성민 지음, 문국현.윤석금.박기석 감수, 낸시랭 표지디자인/IWELL(아이웰)

일단 무료이므로 부담없이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알라딘 링크지만 알라딘에서 다운 받을 수 있는 전자책 뷰어가 5개 서점 공통이라고 하니 받아두면 다른 곳에서 책을 사더라도 볼 수 있어서 좋다. (해당 서점 : 알라딘, yes24, 리브로, 반디앤루니스,...하나 뭐였지?!)

또한 전자책 뷰어로 다운 받은 후에라도, 아이폰 알라딘 앱에서 다시 다운 받아서 볼 수 있다.




공짜라길래 일단 챙겨놓고 천천히 읽을까 했는데 그리 길지 않은데다 꽤 재미있어서 금방 읽어 치웠다.

아직 대학생인 동생님에게도 추천했는데, 동아리 사람들에게도 추천하고 싶다고.

대략 위 링크의 마이리뷰를 보면 얼마나 추천할만한 책인지 알 수 있다. (블로그에 글 쓰고 리뷰는 방금 처음 봤는데 진짜 성실한 리뷰가 많다...-_-;;)




 이 책은 대략 20대가 할 것 같은 고민을 (동생님에게는 대학교 4학년 졸업반이 할 것 같은 고민으로 보였던 듯) 소설형식을 빌어 풀어낸 자기계발서이다. 딱히 자기계발서의 입에 발린 말을 싫어한다고 해도 소설형식이라 부담없이 읽힌다.

 줄거리를 요약하면 :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한 어정쩡한 직장에서 앞으로의 불확실한 미래 때문에 이직이나 해볼까, 대학원이나 가볼까 방황하는 마음으로 교수님에게 상담을 요청한 학생이 상담을 거치면서 변화를 겪는 이야기.

동생님이 최근 안드로이드 폰을 구입했기에 한번 전자책을 접해보게 할 겸 해서 권유했는데 주위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할 정도이니 잘한 일인듯.

애인님에게도 추천했는데 역시 이런 종류의 책이 전혀 먹혀들지 않을 것 같다고 생각은 했지만 다 읽기는 했는지 의심스럽다(...)





 전자책의 최대 단점이 (온라인으로 종이책을 사도 마찬가지이지만) 내용을 볼 수가 없다는 점이다. 보통 서점에서 책을 구입한다면 어느 정도는 훑어보고 마음에 들어야 구입하지 않던가? (그래서 한때는 오프라인 서점에 가서 책을 고르고 목록을 적은 뒤 집에 와서 온라인으로 구매하기도 했다.) 300페이지 기준 샘플로 10페이지 정도만 읽어보게 해 줘도 구매에 좀 더 도움이 될 것 같은데 현재 전자책 시스템을 보면 불가능해 보인다.

 그리고 역시 종이책에 비해서는 가독성이 좋다고도 할 수 있고 나쁘다고도 할 수 있다. 아무래도 모니터로 보게되면 종이책에 비해서는 눈이 피로하긴 하다. 그런데 반면 종이책은 좀 볼려고 하면 목이 뻐근하니 비슷비슷한듯. 그런면에서 화면 크기가 작다는 점을 제외하면 아이폰으로 드러누워서 보는 것이 가장 이상적. 따로 스탠드도 필요 없고 팔힘 약한 내가 들고 봐도 별 피로가 없을 정도로 가벼운 것이 좋다. 양장본 고급화의 분위기가 몰아닥친 뒤로 책이 너무 무거워졌다. 화면이 작은 게 좀 단점인데, 안경 안 쓰고 볼 수 있을 정도로 활자 크기를 키워버리면 정말 너무 금방금방 페이지를 넘겨야하는 점이 슬프다. (하지만 이보다 화면이 크고 더 무겁다면 무의미할 것 같다. 장시간의 독서를 위해서 무게란 정말 중요한 요소니까..)

 저작권이 없는 도서의 경우 외국에는 꽤나 많이 전자책으로 나와있던데 한국어로 된 무료 전자책을 접하기 쉽지 않은 점이 아쉽다. 하기사, 저작권이 없다 하더라도 전자책으로 만드는 비용이 꽤나 들듯. 개개의 서점이 자기 전자책 서식을 광고하려는 상황이라면 오히려 경쟁적으로 무료 전자책이 만들어 질 것 같은데 그런 상황이 아니다보니(ePub인가?가 거의 점유한 상황으로 보인다.) 그런 것 같다.

 아무래도 전자책 특성상 장르소설이나 만화책 등을 전자책으로 저렴하게 접할 수 있다면 시장성이 있을 것 같은데... 현실은 : 전자책 도서정가제 도입

 S전자를 그리 좋아하지는 않지만 열성적으로 스마트폰을 팔아 주시는 덕을 보려나... 전자책 시장이 좀 더 커지기를 바랄 뿐이다.

'문화생활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9년 책일기  (0) 2009.12.31
(책)마음 vs 뇌 - 나는 무엇으로 정의되는가?  (1) 2009.10.29
(책) 트와일라잇  (3) 2009.10.08
눈먼자들의 도시....  (2) 2009.08.23
바리데기, 황석영  (5) 2008.03.03
,